| 2020. | 처음 만나는 조경학, 일조각(9인 공저) | 
											
																						
												| 2020. | 이어 쓰는 조경학개론, 도서출판 한숲(9인 공저) | 
											
																						
												| 2016. | 신작정기(新作庭記), 도서출판 문운당(4인 공역) | 
											
																						
												| 2010. | 도시사랑·도시디자인, 서울디자인재단(8인 공저) | 
											
																						
												| 2010. | 서촌: 역사, 경관, 도시조직의 변화, 서울역사박물관, (8인 공저) | 
											
																						
												| 2010. | 도시사랑, 도시디자인, 서울디자인재단(9인 공저) | 
											
																						
												| 2009. | 보이지 않는 용산·보이는 용산, 도서출판 마티(6인 공저) | 
											
																						
												| 2008, | 경관법과 경관계획(11인 공저), 문운당 | 
											
																						
												| 2006, | 한국의 공원․Parkscape, 도서출판 조경(11인 공저) | 
											
																						
												| 2004. | 자연경관계획 및 관리, 문운당(13인 공저) | 
											
																						
												| 2004. | 도시경관계획 및 관리, 문운당(11인 공저, 대표집필) | 
											
																						
												| 2003. | “서울 남촌; 시간, 장소, 사람‘, 서울학연구소(7인 공저) | 
											
																						
												| 1999. | 우리 시대의 조경 속으로, 서울포럼 (16인 공저) | 
											
																						
												| 1999. | 조경설계론.  기문당 (12인 공저) | 
											
																						
												| 1998. | LOCUS(조경과 문화). 도서출판 조경문화 (12인 공저) | 
											
																						
												| 1992. | 한국전통조경, 도서출판 조경(9인 공저) 외 16종 출판 | 
											
																					  
										  
										  										  
										  
										  
																						
												| 2020. | 낭만주의 도시경관 담론의 계보 연구, 한국경관학회지(12/2) | 
											
																						
												| 2012. | 조선시대 산수화의 경관관이 원림양식에 미친 영향, 한국조경학회지(40/2) | 
											
																						
												| 2010. | 동양그림의 경관관이 작정원리에 미친영향-중국화론과 원림론의 관계를 중심으로-한국조경학회지, (37/6) | 
											
																						
												| 2008. | 혼성적 환경설계의 기원과 전개, 한국조경학회지(36/5) | 
											
																						
												| 2008. | 혼성적 환경설계의 기원과 전개, 한국조경학회지 36권 5호, pp.1-12 | 
											
																						
												| 2007. | 서울 서촌의 역사문화탐방로 조성방안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5/3, pp.13-36 | 
											
																						
												| 2006. | Revitalization of the Urban Cultural Environment through the Restoration of the Historical Stream System: A Proposal,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Asia, Volume 2, JILA·CSLA·KILA | 
											
																						
												| 2005. | 포스트모던 조경설계의 다원적 전개양상, 한국조경학회지, 32(6), 한국조경학회 | 
											
																						
												| 2004. | 조경학회지 게재논문 경관분야의 연구경향, 한국조경학회지, 31(6) | 
											
																						
												| 2003. | 도시경관계획의 작성방식에 관한 비교연구, 국토계획, 38(5) | 
											
																						
												| 2003. | Korean Landscape and the Aesthetics of Invisibil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International Edition, Number1. December 30, 2002, pp15-22 | 
											
																						
												| 2001. | 모더니즘 조경설계에 미친 미술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9(4) | 
											
																						
												| 1998. | 도시환경설계의 합리주의와 경험주의 사조에 관한 고찰(II), 국토계획(대한국토계획학회지), 33/4 | 
											
																						
												| 1998. | 도시환경설계의 합리주의와 경험주의 사조에 관한 고찰(I), 국토계획(대한국토계획학회지), 33/3 | 
											
																						
												| 1994. | 동양적 세계관의 관점에서 본 한국도시경관의 특성, 한국조경학회지, 21/4 | 
											
																						
												| 1993. | 도시경관의 실증적·인간주의적 측면, 국토계획(대한국토계획학회지), 28/4 | 
											
																						
												| 1991. | 한국 서남해 섬마을의 경관체계 해석, 한국조경학회지, 18/4 외 17편 | 
											
																					  
										  
										  										  
										  
										  
																						
												| 2019. | 도시문학을 통해 본 서울 도시경관의 인식, 서울도시연구(20/4) (김한배·조윤승) | 
											
																						
												| 2019. | Landscape Design Methodology as Perceived through Scheme with User Experience, IJUS(2019.8) (박수지·김한배 외 2인) | 
											
																						
												| 2019. | 보행친화도시를 위한 한강 주요교량의 한강 주요 교량의 보행환경 개선방안 연구, 한국경관학회지(12/1) (김한배·이태겸) | 
											
																						
												| 2019. | 진주 지역사회운동 진원지의 장소성과 그 변천, 국토계획(54/1), (하혜경·김한배) | 
											
																						
												| 2014. | 서울 서촌지역 조선조 원림의 위치추적을 통한 경관 해석, 한국전통학회지(2014.9.) (김한배·이태겸 외 1인) | 
											
																						
												| 2014. | 조선시대 서울 경관명소 분포와 인식의 비교연구: 팔경시, 진경산수화, 풍속지를 중심으로, 국토연구(82), (박수지·김한배) | 
											
																						
												| 2013. | 서울 도시탐방명소의 장소적 특성, 한국조경학회지, 41/4: (박수지·김한배) | 
											
																						
												| 2010. | 융의 원형론적 관점에서 본 궁궐 수공간의 상징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3 (윤미방· 김한배) | 
											
																						
												| 2009 | 도시보행자가로의 체험에 있어서 어번픽춰레스크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6권 6호, pp.115-125(김영재·김한배) | 
											
																						
												| 2003. | 산운마을의 역사문화경관 복원 및 정비, 한국정원학회지 21(4), (박찬용·김한배) | 
											
																						
												| 2003. | 「월미도원」-월미공원 현상설계안, 한국정원학회지, (21/3) (김한배 외 3인) | 
											
																						
												| 2002. | 닭실마을의 경관복원과 정비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20/4) (김한배·박찬용) | 
											
																						
												| 2002. | 닭실마을의 경관조영 연구, 한국정원학회지(20/3), (김한배․박찬용)  외 56편 | 
											
																					  
										  
										  										  
										  
										  
																						
												| 2019. | 서대문 역사공원 유감, 한국조경신문, 2019.11.26 | 
											
																						
												| 2013. | 축제의 경관문화-정원박람회와 경관예술제, 환경논총, 52권, 서울대 환경대학원 | 
											
																						
												| 2006.1~12. | 월간 환경과 조경, 권두 컬럼(12회) | 
											
																						
												| 2004. | 도시경관 속의 세 그림자: 권력, 자본, 환영, 건축(48/2), 대한건축학회 | 
											
																						
												| 1995. | 고향의 현상학 시론, 터전, 3권, 서울대 환경대학원 | 
											
																						
												| 1993. | 사람의 다리, 삶의 다리-다리의 도시경관, 공간(SPACE), 1993.12. | 
											
																						
												| 1993. | 공원인가, 제 3의 공간유형인가, 환경과 조경, 통권 61호 | 
											
																						
												| 1996.2.23 | ‘대구의 도시미래와 공원·녹지정책의 전환’, <대구시 공원·녹지정책 이대로 좋은가?>, 대구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시민포럼 논문집, pp. 3-16 | 
											
																						
												| 1988. | 한국공간조형의 감성, 교수신문(學而思 논단), 1988.7.13. 외 다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