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 | 기찻길옆 지역공동체 문화예술놀이터 조성사업 야외공간 실시설계 | 
											
																						
												| 2022 | 장항 리파인 문화재생사업 현상설계 당선(MDL, 신아키텍츠와 공동 응모) | 
											
																						
												| 2022 | 한국조경 50년 기념전·IFLA 한국 개최 성과전 전시총괄 | 
											
																						
												| 2022 | 원주시립미술관 조경설계 | 
											
																						
												| 2022 | 삼성래미안갤러리 리뉴얼 | 
											
																						
												| 2022 |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 남문 광장형 교문 현상설계 | 
											
																						
												| 2021 | 덕수궁프로젝트 상상의 정원 초청작가, “가든카펫” | 
											
																						
												| 2021 | 파주건축문화제 “우리 곁의 조경”, 전시감독 | 
											
																						
												| 2021 | 연천 DMZ 피스브릭하우스(PEACE BRICK HOUSE) 건축설계 제안공모 2등(건축사사무소 커튼홀) | 
											
																						
												| 2021 | 강원양양 하나(국공립)어린이집 실외놀이터 기본 및 실시설계(건축사사무소 커튼홀) | 
											
																						
												| 2020 | the H 포레센트 헤리티지가든 초청작가, “Meadow Carpet” | 
											
																						
												| 2020 | 공원아카이브전, “시민의 숲을 기록하다, 서울숲”, 전시 감독 | 
											
																						
												| 2020 | 춘천 시민공원(구 캠프페이지) 마스터플랜 설계공모, 3등 | 
											
																						
												| 2020 | 청계하수역사체험관 설계공모, 3등(2인 공동 응모) | 
											
																						
												| 2020 |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 참여작가, 출품작 “ Black Meadow”(코로나 상황으로 2021년으로 연기) | 
											
																						
												| 2020 | 오금배수지 공원조성 설계공모, 2등(2인 공동 응모) | 
											
																						
												| 2019 | 하동군 솔섬 외부공간 기본계획 | 
											
																						
												| 2019 | 제주 중문대포해안 주상절리대 경관설계 국제공모 당선(6개사 연합팀, 디자인감독) | 
											
																						
												| 2018 | 녹사평 공공미술 프로젝트 초청작가, 출품작 “숲 갤러리” | 
											
																						
												| 2018 |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전주 덕진공원 내 ‘맘껏숲’ 기본계획 및 실시설계(준공) | 
											
																						
												| 2018 | 제주 하원동 주택 정원(준공) | 
											
																						
												| 2018 | 서울에너지드림센터 태양의 놀이터 기본계획 | 
											
																						
												| 2017 | 평창동 미술문화공간 조경 기본계획 및 실시설계 | 
											
																						
												| 2017 | 군산 유니세프 아동권리광장 맘껏광장 기본계획 및 실시설계 | 
											
																						
												| 2017 | 과천대로 일대 도시재생 방안 공모 우수상(10인 연합팀 대표) | 
											
																						
												| 2016 | 어린이대공원 유니세프 “맘껏놀이터” 기본계획 및 실시설계(준공) | 
											
																						
												| 2016 | 만리동 공원 공공미술 지명현상 초창작가, 출품작 “SEOUL RINGS” | 
											
																						
												| 2016 | 한국은행 앞 분수광장 리뉴얼 아이디어 공모 장려상(2인 공동응모) | 
											
																						
												| 2016 | 남산 예장자락 재생사업 설계공모 가작(3인 공동응모) | 
											
																						
												| 2016 | 서울 어린이대공원 주제정원 기본 및 실시설계 3개소(2개소 준공) | 
											
																						
												| 2016 | 서울대공원 입구광장 리노베이션 기본 및 실시설계(준공) | 
											
																						
												| 2016 | 하동공원 확대 기본계획+ 1차 그린테라스 실시설계(준공) | 
											
																						
												| 2016 | 남산 예장자락 재생사업 설계공모 가작(3인 공동응모) | 
											
																						
												| 2015 | 부천 삼정동 소각장 문화재생사업 조경 기본 및 실시설계 | 
											
																						
												| 2015 | 서울시립대학교 시민문화교육관 조경 기본 및 실시설계(준공) | 
											
																						
												| 2015 | 세운상가 활성화 국제현상공모 가작(5인 공동응모) | 
											
																						
												| 2015 | 제주 네오플 교육연구시설 조경설계 기본계획 및 실시설계 | 
											
																						
												| 0215 | 우창산방 생태정원 기본계획 | 
											
																						
												| 2014 | 마포 석유비축기지 국제설계경기 2등(4인 공동응모) | 
											
																						
												| 2013 | 김해 클레이아크 미술관 상반기 기획전 “진례다반사” 초대작가 출품작 “우리마을숲” | 
											
																						
												| 2012 | 72시간 프로젝트 “희망물고기 낚시터” 조성(installation) | 
											
																						
												| 2012 | 서울그린트러스트 우리동네숲 밥퍼 “밥숲” 설계 및 준공 | 
											
																						
												| 2012 | 제주 더 클리프 호텔 조경 기본계획 및 실시설계 | 
											
																						
												| 2012 | 시흥 군자지구 도시개발사업 조경현상설계공모 | 
											
																						
												| 2011 | 광주 시민회관 지명현상 당선(김아연+김광수) | 
											
																						
												| 2011 | 강원도 사북-고한 Art in Village 작품 3개소(준공) | 
											
																						
												| 2011 |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 초대작가 출품작 "Listening Forest" | 
											
																						
												| 2011 | 이화여자대학교 부설 어린이집 실외놀이공간 기본 및 실시설계 | 
											
																						
												| 2011 | 청평 고성리 단독주택 정원 기본계획 및 실시설계(준공) | 
											
																						
												| 2010 | 서울시립대학교 생활관 중정 및 옥상정원 2개소(준공) | 
											
																						
												| 2009 | 서울 경춘선 폐선부지 공원화 현상설계 당선 - ((주)채움, 어반엑스, 선진엔지니어링, EDI와 공동응모) | 
											
																						
												| 2009 | 순천만 국제 정원박람회 마스터플랜 설계경기 당선((주)가원, 성호엔지니어링, 동호 엔지니어링과 공동응모) | 
											
																						
												| 2009 | 분당 개인주택정원(준공) | 
											
																						
												| 2009 | 서울시 상상 어린이공원 2차 현상공모 당선(데오스웍스, PMD와 공동응모) | 
											
																						
												| 2008 | 서울그린트러스트 우리동네숲 명일동 설계 및 준공 | 
											
																						
												| 2008 | 제주 서귀포 혁신도시 도시기반시설 조경설계 현상공모 당선  - ((주)채움 조경기술사사무소와 공동응모) | 
											
																						
												| 2008 | 서울시 상상 어린이공원 현상공모 당선(데오스웍스, PMD와 공동응모) | 
											
																						
												| 2007 | 한강공원 여의도권역 특화 국제 설계경기(당선) ((주) 비욘드, 정욱주와 공동응모) | 
											
																						
												| 2007 | 서울그린트러스트 우리동네숲 3개소 설계 및 준공 | 
											
																						
												| 2007 |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앙녹지부 국제 설계경기 | 
											
																						
												| 2007 | 세종문화회관 예술정원 ((주) 디자인로직과 공동) 준공 | 
											
																						
												| 2006 | 세종문화회관 주차장 공원화 설계경기(당선) ((주) 디자인로직, 정욱주와 공동응모 | 
											
																					  
										  
										  										  
										  
										  
																						
												| 2023 | 안성반려동물테마파크 기본계획, 안성시 | 
											
																						
												| 2023 | 삼성래미안 시그니처가든 가이드라인, 삼성물산 | 
											
																						
												| 2023 | 공공주택 놀이환경 구축방안 개발, 한국토지주택공사 | 
											
																						
												| 2023 |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 중심가로 조경생태조성 개념설계, 연세대학교 | 
											
																						
												| 2022 | 서소문 일대 개방형 녹지공간 통합기획, 서울특별시 | 
											
																						
												| 2021 | 삼성래미안 조경 전문가 컨설팅, 삼성물산 | 
											
																						
												| 2020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공공주택 계획방향 연구, 한국토지주택공사 | 
											
																						
												| 2020 | 공공주택 실내놀이터 조성방안 연구: 발달 및 놀이 중심 가이드라인과 설계모형, 한국토지주택공사 | 
											
																						
												| 2019 | 공간닥터 프로젝트, 신내 10단지, 서울주택도시공사 | 
											
																						
												| 2017 | 행정중심복합도시 공원녹지 특화전략 및 지속가능한 운영관리방안, 한국토지주택공사 | 
											
																						
												| 2017 | 대우 푸르지오 조경디자인 가이드라인 리뉴얼, 대우건설 | 
											
																						
												| 2016 | 장애와 비장애의 경계를 허무는 서울특별시 통합놀이터 및 통합 공원 확대 방안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 서울특별시 | 
											
																						
												| 2016 | 하동 호국공원 재정비 기본계획, 하동군 | 
											
																						
												| 2016 | 하동 경전선 폐철도 기본계획, 하동군 | 
											
																						
												| 2016 | 문경 아리랑 비원 조성을 위한 기본구상, 문경시 | 
											
																						
												| 2015 | 서울 어린이대공원 경관녹지 개선 및 활용방안, 서울어린이대공원 | 
											
																						
												| 2014 | 순천 정원의 도시 마스터플랜 수립 연구, 순천시 | 
											
																						
												| 2014 | 서울시립대학교 중앙로 재조성 기본계획, 서울시립대학교 | 
											
																						
												| 2013 | 연세대학교 어린이생활지도연구원의 자연친화적 실외놀이 환경 조성을 위한 기본계획 및 기본설계, 연세대학교 어린이 생활지도 연구원 | 
											
																						
												| 2012 | 임진각 평화누리 통합개발 기본구상계획, 경기관광공사 | 
											
																						
												| 2010 | 철원 청정 철새마을 문화기반시설 기본계획, 철원군 | 
											
																						
												| 2009 | 용산공원 정비구역에 관한 기본계획, 국토해양부 | 
											
																						
												| 2009 | 드림시티 성동디자인 기본구상 및 실천과제, 성동구 | 
											
																						
												| 2008 | 경춘선 폐선부지 공원조성 및 기본구상 연구, 연구원, 서울특별시 | 
											
																						
												| 2008 | 디자인서울 가이드라인, 공공공간 부문 책임 연구원, 서울특별시 | 
											
																						
												| 2007 | 종묘 조경 정비 기본계획, 문화재청 | 
											
																					  
										  
										  										  
										  
										  
																						
												| 2022 | 한국 조경 50년을 읽는 열다섯 가지 시선, 한숲, 17인 공저 | 
											
																						
												| 2020 | 처음 만나는 조경학, 일조각, 9인 공저 | 
											
																						
												| 2020 | 이어쓰는 조경학개론, 한숲, 9인 공저 | 
											
																						
												| 2018 | "우리 모두에게 놀 권리를 허하라", 조경이 그리는 미래, 한숲, 37인 공저 | 
											
																						
												| 2013 | 빌딩블로그: 공상과 현실 사이의 건축, 도시, 경관, 제프 마노 저, 김아연 외 2인 역 | 
											
																						
												| 2011 | 철새협동조합: 철원 철새마을 커뮤니티 디자인, 나무도시, 13인 공저 | 
											
																						
												| 2009 | “공원화사업을 통한 도시재생의 그늘”, 뉴욕 런던 서울의 도시재생 이야기, 픽셀하우스, 15인 공저 | 
											
																						
												| 2007 | “조경의 재료”, 텍스트로 만나는 조경, 나무도시, 13인 공저 | 
											
																						
												| 2006 | “지하세계의 미학”, LAnD 조경. 미학. 디자인, 도서출판 조경, 23인 공저 | 
											
																						
												| 2000 | “여성과 조경”, 조경과 비평: LOCUS2, 도서출판 조경문화, 16인 공저 | 
											
																					  
										  
										  										  
										  
										  
																						
												| 2022년 04월 | 도시공원 설계공모 수상작을 통해 본 조경설계개념의 유형(한국조경학회지) | 
											
																						
												| 2019년 12월 | 아동친화도시 근린공원의 아동친화환경분석(한국조경학회지) | 
											
																						
												| 2019년 12월 | 간접적 참여설계방법을 통한 메모리얼 설계요소 도출(한국경관학회지) | 
											
																						
												| 2019년 04월 | 제3세대 SNS에 표출된 공원유형별 이용특성분석(한국조경학회지) | 
											
																						
												| 2018년 04월 | 도시공원 야간경관의 조성 과정과 실태 분석(한국조경학회지) | 
											
																						
												| 2017년 04월 | 장애·비장애 통합환경으로서의 통합공원 조성을 위한 관련 가이드라인 분석(한국조경학회지) | 
											
																						
												| 2016년 12월 | 서울 어린이대공원 내 동물원의 변화과정(한국조경학회지) | 
											
																						
												| 2016년 02월 | 프로젝트 기반 수업으로서의 조경설계 교과목 수업계획서 분석과 개선방안 (조경학회지) | 
											
																						
												| 2015년 02월 | 조경교육에 있어 학습자 중심 스튜디오 수업의 쟁점(조경학회지) | 
											
																						
												| 2013년 08월 | 공동주택단지 실외놀이환경을 주제로 한 어린이 참여디자인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한국도시설계학회지) | 
											
																						
												| 2010년 06월 | 조경설계 스튜디오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조경학회지) | 
											
																						
												| 2006년 08월 |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관점으로 본 춘천 G5국제설계경기 출품작 분석(조경학회지) | 
											
																						
												| 2006년 02월 | 국가대표선수 훈련원 마스터플랜 설계경기 조경계획(조경학회지) | 
											
																						
												| 2005년 10월 | 브리지파크 국제설계경기에 나타난 현대 조경설계의 경향(조경학회지) | 
											
																						
												| 2005년 08월 | 학교숲이 초등학생의 학교와 자연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환경교육학회지) | 
											
																						
												| 1997년 02월 | 어린이집 실외놀이공간 설계모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 
											
																						
												| 1996년 12월 | 서울특별시 보육시설 실외놀이공간의 중요성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수상) | 
											
																					  
										  
										  										  
										  
										  
																						
												| 2022 | "전주 야호 맘껏숲놀이터 : 놀이의 다양성을 위한 조건들", 환경과 조경 408호 (2022년 4월호) | 
											
																						
												| 2021 | "Black Meddow/Meddow Carpet/Garden Carpet", 환경과 조경 402호 (2021년 10월) | 
											
																						
												| 2020 | “사라지는 꿈, 유토피아로서의 자연”, 미술원, 우리와 우리사이, 국립현대미술관 | 
											
																						
												| 2019 | "생태학적 상상력과 풍경의 디자인", 환경과 조경 373호 (2019년 5월호) | 
											
																						
												| 2019 | "프로젝트: 수평적 깊이와 트멍 경관", Domus korea 2019 2월 No.01 | 
											
																						
												| 2018 | “가장 식물적인 것이 가장 예술적이다”, 패트릭 블랑의 수직정원 비평, 부산현대미술관 | 
											
																						
												| 2017 | “마이너리티 리포트” 조경사회보 | 
											
																						
												| 2017 | “숨 가쁜 도시에 찍는 푸른 쉼표, 공원을 이야기하다” 조경가 김아연 인터뷰, 현대모터, 336호 | 
											
																						
												| 2017 | “놀이에 대해 생각하다: ‘조경인이 그리는 미래 Series No. 27, 라펜트 | 
											
																						
												| 2017 | “맘껏놀이터”, 환경과 조경 352호 (2017년 8월호) | 
											
																						
												| 2016 | “숲을 디자인하다” 환경과 조경 343호(2016년 11월호) | 
											
																						
												| 2016 | “꿈꾸는 자들을 위한 변명” 환경과 조경 343호(2016년 11월호) | 
											
																						
												| 2015 | “우리시대 아버지의 꿈의 초상”, 클레이아크 김해미술관 [아버지의 정원] 비평 | 
											
																						
												| 2015 | “빛공장 위에 떠있는 작은 천국: 알토 사옥 옥상정원” 환경과 조경 327호(2015년 7월호) | 
											
																						
												| 2015 | “설계 교육의 내일을 고민하다” 김소라, 김아연, 유석연, 환경과조경 328호(2015년 8월호) | 
											
																						
												| 2014 | 그들이 설계하는 법: 김아연, 환경과 조경 7월, 8월 9월에 연재(315호, 316호, 317호) | 
											
																						
												| 2009 | “스튜디오 101: 설계를 묻다”, 환경과 조경 2009-2010 격월로 연재 | 
											
																						
												| 2007 | “동대문운동장, 카피공원을 꿈꾸는가”, C3 2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