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 교수

박찬 교수

기본정보

연구실 배봉관 2층 6223호 (융합환경계획연구실)
전화 / fax
이메일 [email protected]
전공분야 빅데이터 기반 공간통계모델링(기후변화, 환경, 사회변화, 생태계서비스 등) 및 정량적 공간경제학

학력

2009-2012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협동과정조경학 (공학박사)
2007-2009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조경학전공) (조경학 석사)
2000-2007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조경학전공) 졸업 (농학사)

경력

2016.3-현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조경학과, 조교수
2015.5-2016.2 국토연구원 도시연구본부 스마트녹색도시연구센터, 책임연구원
2013.5-2015.4 일본 국립환경연구소 사회환경시스템연구센터 통합모델링연구과, 특별연구원
2012.3-2013.4 한국 국립환경과학원 대기기후연구부 기후변화연구과, 박사후 연구원
2017.1-현재 한국기후변화학회 학술위원
2015.1-현재 Landscape and Ecological Engineering, Secretary
2016-2017 IWUL(국제도시경관) 워크숍 코디네이터 (서울시립대학교)
2016.8 여름조경디자인캠프 튜터 (한국조경학회)

연구실적


연구프로젝트
2019-2022 국가 및 글로벌 기후변화대응정책 연계형 표준기후정책평가모형 개발, 연구책임, 한국연구재단
2019-2022 도시생물종 맞춤형 서식환경 관리 기법 개발, 세부연구책임, 한국환경산업기술원
2018-2020 기후변화 적응정책 선정을 위한 통합평가 의사결정지원 도구개발 및 실증화, 공동연구, 한국환경산업기술원
2017- 2017 생태계서비스 평가를 위한 시나리오 설정 및 시범적용, 공동연구, 국립생태원
2017- 2020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통합평가 모형 기반구축 및 활용기술개발: 통합환경공간계획, 세부공동참여, 환경부
2017-2017 법정리 단위 산촌관련 DB구축과 기초 통계 분석, 연구책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6-2017 행정중심복합도시 공원ㆍ녹지 특화전략 및 사업성 제고방안 수립연구용역, 공동연구, LH
2016-2017 한반도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정책수립 지원연구, 공동연구, 환경부
2016 북한지역 생태축의 주요종 서식 적합성 평가 및 경관생태학적 평가 연구, 연구책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6 생태계서비스 평가를 위한 시나리오 및 모델링 예비연구, 공동연구, 국립생태원
2015-2016 산줄기연결망체계 구축 및 산지관리방안, 연구책임, 산림청
2015 산지이용실태조사, 공동연구, 산림청
2015 베트남 그린시티 도시계획 수립사업, 공동연구, KOICA
2015 미래 국가도시정책, 공동연구, 국토연구원
2015 국토·환경계획 연동에 따른 도시계획적 대응방안 연구, 공동연구, 국토연구원
2014-2015 Inter-Sectoral Impact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공동연구, 일본 환경성
2013-2015 동아시아 지역의 온실가스 및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공동연구, 일본 환경성
2013-2014 기후변화 영향·리스크 평가, 공동연구, 일본 환경성
2012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표준화 방법론 개발, 참여 연구원, 국립환경과학원
2012-2013 지자체 온실가스 감축이행 실적 평가기법 연구, 공동연구, 국립환경과학원
2011-2012 도시생태계 적응, 관리 기법 및 지원시스템 개발, 참여 연구원, 환경부
2010 저탄소녹색도시 조성가이드라인 및 평가기법 개발, 참여연구원, 환경부
2009-2010 DMZ와 CCZ지역의 두루미류 서식현황 조사 및 보전전략 수립 연구, 참여연구원, 환경부
2009-2011 산악/수변,농촌,관광 휴양지역 산림경관 디자인 및 관리기법 개발, 참여연구원, 산림청
2008-2012 U- 기술기반 Eco City 계획 설계 및 평가기술, 참여 연구원, 국토해양부
2007-2010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권 변화 예측 모델 개발 및 취약지역에 대한 관리기법 개발, 참여연구원, 환경부
2007-2010 도시숲 유형에 따른 도시숲 조성, 참여연구원, 산림청
2007-2009 광역생태축 구축을 위한 기준 및 관리지역 설정 연구, 참여연구원, 환경부

논문
2022 주택재개발사업지의 층수변화 시나리오별 미기후 영향 예측 : 기온, 미세먼지, 초미세먼지를 중심으로
2022 수원시의 조류 충돌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 구성,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2022 녹지축의 생태적 기능 강화를 위한 도시녹지 연결경로 도출 연구 -수원시 대상-,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2022 멧돼지(Sus scrofa) 서식지 및 이동 특성을 고려한 연결성 모델링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2022 자연기반해법 적용에 따른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의 비점오염 저감 효과 추정,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2022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국립수목원 교육의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위한 방향, 한국경관학회지
2022 조경 공종에서의 온실가스 고려 사항 및 어린이공원 시공 단계의 배출량 산정,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2022 CEA 모델을 활용한 아파트 에너지 사용량 및 태양광 잠재량 분석,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2022 Good practice policies to bridge the emissions gap in key countries, Global Environmental Change
2021 Impact of Local Environment on Cooling Island Effect of Water Body: Case Study of Changsha, China, Sensors and Materials
2021 Spatiotemporal Contribution of Blue-green Spaces to the Urban Thermal Environment in Changsha, China, Sensors and Materials
2021 Finding Unrevealed Landslide Hazard Area Induced by Climate Change and Topography - Case study for Inje-gun, Gangwon-do, ROK, Sustainable Cities and Society
2021 A framework for national scenarios with varying emission reductions, Nature Climate Change
2021 Reproducing complex simulations of economic impacts of climate change with lower-cost emulators, Geoscientific Model Development
2021 도시개발 시나리오에 따른 농업지역의 생태계서비스 변화 분석 - 3기 신도시 남양주 왕숙1지구를 대상으로 - , 한국환경영향평가
2021 서울 도심 공지의 개발 시나리오에 따른 미기후 영향 분석, 한국환경영향평가
2021 Discrepancies between Global Forest Net Primary Productivity Estimates Derived from MODIS and Forest Inventory Data and Underlying Factors, Remote Sensing
2021 도시녹지 미세먼지 조절 서비스 수요와 공급의 공간적 차이 분석 - 수원시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21 카메라트래핑을 활용한 광교신도시 내 도시형 생태통로 모니터링,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21 Mitigating the Impact of Touristification on the Psychological Carrying Capacity of Residents, Sustainability.
2020 Energy system transitions and low-carbon pathways in Australia, Brazil, Canada, China, EU-28, India, Indonesia, Japan, Republic of Korea, Russia and the United States, Energy
2020 기후변화 불확실성을 고려한 226개 기초지자체 유형화 연구, 한국기후변화학회지
2020 지역의 미래 환경 비전 공간화를 위한 토지이용계획 시나리오 체계 연구, 국토계획
2020 친환경 도시건설 이념에 따라 조성된 도시의 녹지 구조 및 기능 비교 분석 :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일본 쓰쿠바시를 사례로, 국토계획
2020 심층신경망 모형을 이용한 서울시 도시공원 및 녹지공간의 열섬저감효과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2020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energy systems in global and regional scenarios. Nature Energy.
2020 Discerning the success of sustainable plann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urban heat island dynamics in Korean new towns, Sustainable Cities and Society.
2020 도시 내 육상 생물종 모니터링을 위한 환경DNA 리뷰 및 적용,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20 인구 감소 현상에 따른 목포시 빈집 및 공지의 공간적 분포 전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19 환경DNA 메타바코딩 기술을 활용한 수생태계 어류종 군집조사의 가능성 – 도시 생태하천 초기분석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19 Dependence of economic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anthropogenically directed pathways, Nature climate change
2019 Mapping and Statistical Analysis of NO2 Concentration for Local Government Air Quality Regulation, Sustainability
2019 Evaluating multiple bioclimatic risks using Bayesian Belief Network to support urban tree management under climate change,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2019 Impacts of Climate Change, Income Change, and Mitigation Measures on CO2 Emission in the Korean Residential Sector in 2050, 한국기후변화학회
2019 제3세대 SNS에 표출된 공원 유형별 이용 특성 분석, 한국조경학회
2019 Modelling spatial climate change landuse adaptation with multi-objective genetic algorithms to improve resilience for rice yield and species richness and to mitigate disaster risk,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2018 해수면 상승에 따른 생태계서비스 피해비용 추정. IDI 도시연구
2018 Estimating landslide susceptibility areas considering the uncertainty inherent in modeling methods, Stochast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Risk Assessment
2018 Assessing Effective Sampling Method and Sample Size for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of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J. Fac. Agr., Kyushu Univ.
2018 CPTED 요소로써 서울시 공원ㆍ녹지의 효과와 계획적 함의, 한국조경학회
2018 Assessing the Cost of damage and Effect of Adaptation to Landslides, Sustainability
2018 시흥시 보전지역 설정을 위한 조류 서식지 적합성 분석, 국토계획
2018 Estimation of the Cost of Greenhouse Gas Reduction in Korea under the Global Scenario of 1.5 °C Temperature Increase, Carbon Management
2018 Avoided economic impacts of energy demand changes by 1.5 °C and 2 °C climate stabilization,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2018 Effects of Climate Change and Ozone Concentration on the Net Primary Productivity of Forests in South Korea, Forests
2017 A Flood Risk Assessment Model for Companies and Criteria for Governmental Decision-Making to Minimize Hazards, Sustainability
2017 Impact of 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on Residential CO2 Emissions: A Comparison of Korea and China, Energy Procedia
2017 Low-Carbon Scenarios for the Power Sector in the Republic of Korea, Journal of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2017 Marginal Abatement Cost of CO2 Mitigation Options for the Residential Sector in Korea, Korea and the World Economy
2017 Mapping the Distribution Pattern of Gentrification near Urban Parks in the Case of Gyeongui Line Forest Park, Seoul, Korea, Sustainability
2016 Park Accessibility Impacts Housing Prices in Seoul, Sustainability
2016 Quantifying the economic impact of changes in energy demand for space heating and cooling systems under varying climatic scenarios, Palgrave Communications
2016 도시 열환경 평가를 위한 기온관측망 영향범위 분석,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2016 Modeling the habitat of the red-crowned crane (Grus japonensis) wintering in Cheorwon-gun to support decision making, Sustainability
2016 Finding key vulnerable areas by a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 Natural Hazards
2016 Assessment of the vulnerability of industrial parks to flood in South Korea, Natural Hazards
2015 사회경제 변화를 고려한 서비스 수요 및 기후변화 유발물질 배출량 예측, 한국기후변화학회지
2015 기후변화와 사회·경제적 요소를 고려한 가정 부문 냉난방 에너지 사용량 변화 예측, 환경영향평가
2015 스키산업에 기후변화가 미치는 영향 분석, 환경영향평가
2015 불확실성을 고려한 미래 잣나무의 서식적지 분포 예측, 환경복원녹화
2015 Evaluating landslide hazards using RCP 4.5 and 8.5 scenarios, Environmental Earth Sciences
2015 The Effects of Land-Use Change Scenarios on Terrestrial Carbon Stocks in South Korea, Landscape Ecol Eng
2014 효자배수분구의 우수유출 저감을 위한 레인가든 면적 산출, 국토계획
2013 지자체 유형별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특성 분석, 환경영향평가
2013 기후변화에 따른 산사태 취약성의 정량적 평가기준 설정 연구, 한국기후변화학회지
2013 MaxEnt 모형을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산사태 발생가능성 예측, 환경영향평가
2013 MaxEnt를 이용한 서울시 도시홍수 적응능력 취약지역 선정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2013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 수종의 기후 적합성 평가모델 - 서울시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2012 저영향개발(LID) 적용에 따른 도시지역 유출 분석, 국토계획
2011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기후적응지역 설정 연구 - 삵의 서식지를 중심으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2010 기후변화에 따른 식생과 토양에 의한 탄소변화량 공간적 분석, 한국농촌계획학회지
2010 도시 녹지 가치 평가를 위한 탄소 흡수량 추정 - 서울시를 대상으로 -, 환경영향평가
2010 산림패치의 특성이 조류 종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분석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2010 토지피복 변화를 반영한 미래의 산림식생 분포 예측에 관한 연구, 환경영향평가
2009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식생 및 토양의 이산화탄소 저감잠재량 분석,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2008 경관의 특성에 따른 동물의 이동경로에 관한 연구, 환경영향평가
2008 인공지반녹화의 웹 지원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구축.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EnglishKorean
검색
Generic filters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