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전체 155
이낙연 총리, ″이제는 공원·녹지 조성·관리실적으로 평가받아야 할 때″
이낙연 총리, ″이제는 공원·녹지 조성·관리실적으로 평가받아야 할 때″“이제는 지자체장들이 공장유치 못지않게 공원과 녹지의 조성 및 관리실적으로 평가받아야 하는 시대가 됐다. 후손들에게 아름다운 나라, 건강한 도시를 물려주도록 노력할 때가 됐다. 정부는 조경인 여러분과 함께 그 길을 가겠다”‘2019년 제16회 조경의 날 기념식’이 (재)환경조경발전재단 주최로 지난 5일(화)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개최됐다.이낙연 국무총리는 축사를 통해 “도시와 마을이 국민의 건강과 안전, 행복과 자아실현에 도움이 되어야 한다. 정부는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도시공원과 도시숲을 확대하고 있으며, 지구상에서 가장 자연을 잘 보존하고 있는 비무장지대에 평화공원을 조성하도록 추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업들이 소기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조경의 역할이 필수적”이라며 조경의 역할을 강조했다.장기미집행 도시공원과 관련해 “공원부지로 지정됐지만 공원으로 조성되지 않은 땅이 여의도 면적의 44배나 된다. 그 부지들이 공원화되도록 지자체와 협의하고 도시재생사업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아울러 “지자체뿐만 아니라 중앙정부에도 조경직 공무원을 두도록 검토하겠다”고 밝혀 조경인들의 박수갈채를 받았
2019.03.08 조경학과
2019.01.30 조경학과
“조경의 미래를 준비할 플랫폼 구축하겠다”
이상석 한국조경학회장 겸 환경조경발전재단 이사장 [사진 지재호 기자] [Landscape Times 배석희 기자] 2019년 황금돼지해를 맡아 이상석 서울시립대 조경학과 교수가 한국조경학회장 겸 환경조경발전재단 이사장 임기를 시작했다. 이상석 회장은 현재의 조경업계를 수술이 필요한 환자로 평가하고, 그에 대한 대책을 내놨다. 또, 학회, 지원센터, 발전재단, 단체총연합 간 관계정립과 역할분담을 제시했으며, 도시숲법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내놨지만, 산림청과 상생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조경진흥법의 실효적인 추진을 위해 전문인력양성기관으로 지정받고, 유지관리품셈 및 조경설계 대가기준 개선 계획을 밝혔다. 특히, 미래를 준비할 수 있는 조경의 플랫폼을 구축하고, 소통과 혁신을 통해 조경의 비전을 제시했다. 새해를 맞아 임기를 시작한 이상석 회장으로부터 조경계의 현안과 대응방안에 대해 의견을 들어봤다.소감 한마디?조경이 태동한 지 48년이 지났지만, 어려운 시기를 맞고 있다. 건설산업체계 변화와 조경관련 제도는 취약하다. 사회적으로 도시공원일몰제나 미세먼지 문제가 대두하고 있지만,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고, 조경계 내부적인 다양한 민원과 의견이 상충되
2019.01.30 조경학과
“조선 육조거리·현대 촛불 등 의미 담아”
광화문광장 ‘딥 서피스’ 설계 김영민 교수‘비움’이 콘셉트…설계과정 열려있어 지난 21일 서울 광화문광장 설계공모 당선작 발표 이후 위치 이전을 놓고 논란이 된 이순신 장군상을 광화문 네거리에 그대로 두는 쪽으로 가닥이 잡혔다. 당선작인 ‘딥 서피스―과거와 미래를 깨우다’의 본래 설계안은 이순신 장군 동상을 삼군부 터(정부서울청사) 쪽으로 옮기는 방안이었으나 이에 대해 반대 여론이 일자 서울시는 “시민들이 원하면 존치할 것”이라고 밝혔다. ‘딥 서피스’ 설계에 참여한 김영민(사진) 서울시립대 교수(조경학과)는 23일 <한겨레>와 한 전화 인터뷰에서 “광화문광장처럼 중요한 프로젝트는 시민들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여론을 반영해 설계안을 가다듬고 조정하는 것은 ‘열린 설계’ 과정의 일환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딥 서피스’ 설계엔 김 교수를 비롯해 진양교·성낙일·김희진 등 건축·조경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김 교수는 “우리는 ‘비움’이라는 설계 콘셉트를 명확히 보여주기 위해 장군상을 옮기는 방안을 제시했지만 지금 자리에 놓더라도 애초 설계 취지에 어긋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장군상 위치에 대해선 유연한 태도로 답했지만
2019.01.28 조경학과
2018.09.27 조경학과
[컬럼] 우리들의 조경이야기
글_김아연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교수 / (사)한국조경사회 칼럼1.원고 독촉을 여러 번 받고도 글을 시작하지 못했다. 연말까지 해치워야할 일의 양이 예상을 훌쩍 뛰어넘어 허덕거린 탓도 있지만, 도무지 “우리들의 조경이야기”라는 제목으로 하고 싶은 말들을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첫 단어부터 막힌다. 내가 “우리”라고 부를 수 있는 사람은 누구일까. 그리고 누군가를 “우리”라고 묶을 수 있는 공동의 가치는 무엇일까.일상에서 “우리”는 정겨운 단어지만 “우리”가 다수 집단이 되면 권력을 가지게 되고 이 “다수”가 잘못 휘두른 권력은 “우리”에 속하지 못한 소수를 향한 폭력이 된다. 나는 주변에서 이러한 “우리”의 폭력성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한다.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왕따”는 결국 “우리”라는 테두리에 들어오지 못한 이들에 대한 무시와 배제가 폭력적으로 표출된 것이다. 어느 사회나 주류는 비주류를 만들고 중심은 주변을 만든다. 과연 “우리 조경계”는 어떠할까.다른 분야의 사람들은 내가 내부자로서 느끼는 것보다 조경계를 훨씬 더 배타적이라고 생각한다. 학교에서도 끊임없이 전공에 적응하지 못하고 방황하다 떠나는 학생들을 보게 된다. 학생들 “대다수”가 원하는
2018.03.30 조경학과
2018.02.23 조경학과
EnglishKorean
검색
Generic filters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