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기후변화로 사라지는 자연과 생명에 대한 이야기

2021-06-11 10:25

제17회 베니스비엔날레 국제건축전 한국관 개막



1.jpg

제17회 베니스비엔날레 국제건축전 한국관 ‘블랙메도우: 사라지는 자연과 생명의 이야기’ (사진=한국문화예술위원회 제공)




 


 


[환경과조경 이형주 기자] 기후변화로 생명이 사라진 미래의 자연을 표현한 작품이 베니스비엔날레 국제건축전 한국관에 마련됐다.


 


제17회 베니스비엔날레 국제건축전 한국관이 22일(이탈리아 현지 시각) 개막했다. 이번 비엔날레 국제건축전 한국관은 기존 비엔날레처럼 귀국보고전을 열지 않고 한국관 전시와 더불어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전 세계 미래학교 참가자들과 소통하고자 했다. ‘미래학교 온라인’은 미래학교 참가자와 관객이 함께 더 나은 미래에 대해 탐색하며 서로의 아이디어와 프로젝트를 교류하는 장이다.


 


신혜원 감독은 “미래학교는 인류의 긴급한 과제인 ‘이주, 디아스포라의 확산, 기후변화의 충격, 사회적‧기술적 변화의 속도’ 등 현재와 미래의 과제에 맞서 새로운 다중적 연대를 구축하는 데 있다. 참가자들은 베니스 현지 캠퍼스와 미래학교 온라인이라는 가상의 디지털 캠퍼스 속에서 기존의 배움을 내려놓고 새로 배우는 과정에 동참하게 된다. 전시, 워크숍, 설치, 대화 프로그램 등의 형태로 50여 개의 프로그램과 200명의 작가가 참여하며 이러한 과정은 미래학교 온라인을 통해 기록하고 송출한다는 계획이다”고 전했다.


 


송률과 크리스티안 슈바이처(Christian Schweitzer)가 디자인한 한국관은 휴식과 명상을 위한 공유 공간, 소통과 교류, 토론을 위한 공유공간이다. 방문객은 자유롭게 휴식을 취하며 배움과 생활의 경계를 허물고 사유할 수 있다. 조경가 김아연(서울시립대 조경학과 교수)이 제작한 갈대로 만든 카펫이 중앙에 자리해 방문객에게 자연과 생명의 이야기를 전한다. 안쪽의 미래학교 한지방은 옛날 가정집에서 흔하게 볼 수 있었던 한지장판을 한국관에 재현했다. 


 



12.jpg

‘블랙메도우: 사라지는 자연과 생명의 이야기’ (사진=김아연 교수 제공)




 


 


김아연 교수가 시대조경,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구성원들과 함께 제작한 작품의 이름은 ‘블랙메도우: 사라지는 자연과 생명의 이야기’다. 이는 갈대 빗자루 명맥이 끊길 상황에서 공교롭게 동시에 생태계 교란으로 사라질 위기에 놓인 금강하굿둑 일대 갈대밭 상황을 모티프로 만들어졌다.


 


전 세계적으로 인류는 수백 가지의 식물로 빗자루를 만들어왔다. 갈대(Phragmites australis)는 그중 대표적인 식물이다. 갈대는 습지나 물가에서 자라는 벼과(Poaceae) 식물로 강과 바다가 만나는 기수역 일대에도 잘 자란다.


 


충청남도 서천에는 금강 어귀에서 채취한 갈대 꽃으로 만든 빗자루인 ‘갈꽃비’를 만드는 장인들의 기술이 대대로 이어져 왔으나, 플라스틱 재질 빗자루와 진공청소기에 밀려 서서히 그 전통이 사라지고 있다. 또한 금강하굿둑이 들어선 이래 기수역 일대의 생태계가 교란되고, 갈대밭 역시 점차 훼손됐다.


 


이러한 사례를 접한 김 교수는 “우리는 미래를 이야기할 때 최첨단 기술에 대한 것만 생각하는데 생태계가 사라졌을 때 그 생태계를 기반으로 오랫동안 이어져 온 마을의 문화, 지역적인 기술이 사라진 미래를 떠올렸다”고 설명했다.


 


또한 “자연이라 하면 초록, 생명을 당연하게 떠올린다. 기후위기가 진행된 극단의 상황에서 자연이라 부르는 것에 어떠한 생명도 남아 있지 않은 상태를 의미해 ‘블랙메도우’라 이름 지었다”며 기후변화로 사라진 자연에 대한 이야기를 할 수 있는 매개로서 역할을 부여했다.


 


김아연 교수에 따르면 천연 빗자루의 소멸은 한 지역의 생태계가 교란되며 그에 기반한 오랜 전통 기술이 사라지는 것을 암시한다. 한 식물이 사라진다는 것은 그와 연관된 복합 생태계와 그와 연관된 인류 문화유산의 한 부분이 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설명이다.


 


세계적으로 빗자루를 만드는 식물은 100가지가 넘는다. 그중 우리에게 친근한 대표적인 식물은 ▲싸리(Lespedeza bicolor) ▲수수(Sorghum bicolor) ▲대나무(Bambusoideae) ▲벼(Oryza sativa) ▲댑싸리(Kochia scoparia) ▲모시(Boehmeria nivea) ▲갈대(Phragmites communis) ▲사탕수수(Saccharum spontaneum)다.


 


‘블랙메도우’에는 서천 갈꽃비를 만들기 위해 금강변에서 채취한 갈대꽃과 동남아시아에서 흔히 쓰는 사탕수수 두 종류의 식물종이 쓰였다. 1000개가 넘는 빗자루를 해체해서 초지로 재구성했다.


 


3.jpg


 



4.jpg

‘블랙메도우: 사라지는 자연과 생명의 이야기’ 배치도




 


 


미래학교 부엌에서는 도예가 정미선이 디자인한 제주 옹기에 담은 차와 음료로 방문객과 참가자들이 휴식을 취한다. 그래픽 디자이너 크리스 로(Chris Ro)가 디자인한 ‘프로세스 월’은 ‘미래학교 약속문’과 참가자들의 전시, 워크숍 결과물이 A4용지로 프린트되어 프로젝트 과정을 방문객과 공유한다. 


 


한국관 옥상은 비엔날레 역사상 처음으로 방문객에게 개방된다. 신혜원 감독이 발의한 ‘큐레이터 연합’ 활동의 일환이다. ‘큐레이터 연합’은 지난해 5월 23일 신혜원 한국관 큐레이터의 제안으로, 전 세계 큐레이터들이 코로나19로 순연된 비엔날레 기간을 협업 기회로 활용하는 데 있어 공통의 관심을 표방하며 시작됐다.


 


새로운 디지털 환경인 가상 캠퍼스 ‘미래학교 온라인’을 신설한 것도 주목할 만한 점이다.


 


제17회 베니스비엔날레는 국제건축전 한국관 <미래학교>는 5월 21일 대학로 아르코미술관 스페이스필룩스 오프닝을 시작으로, 5월 22일~11월 21일까지 베니스 자르디니 공원에서 진행된다.


 


5.jpg


 


7.jpg


 



10.jpg

‘블랙메도우: 사라지는 자연과 생명의 이야기’ 조성 과정




 


https://www.lak.co.kr/m/news/view.php?id=11287


www.lak.co.kr/m/news/view.php?id=11287www.lak.co.kr/m/news/view.php?id=11287

EnglishKorean
검색
Generic filters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