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사] [일반대학원] 정람. 2020. 중국 산수화 이론과 『원야(園冶)』를 통해 본 사가원림의 경관 연출 특성
본 연구는 고대 철학사상, 미학 이념을 담고 있는 중국 산수화 이론과 명시대 화가이자 조경가인 계성이 저술한 원림 이론서인 『원야』가 경관 연출과 관련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문헌 연구를 진행하였다. 즉, 위진남북조 시대부터 축적된 중국 산수화 이론에 의거하여 화가들이 2차원의 회화로 경관을 표현하고, 계성을 통해서 원림 조영 이론으로 정리되었으며, 이것은 조경가들이 3차원의 원림으로 실현했다는 추론을 바탕으로 한다. 따라서 중국 산수화 이론과 『원야』에 나타난 경관 연출 특성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첫 번째 과정으로서 중국 산수화 이론의 전개를 살피고, 대표적 산수화 이론으로 『산수송석격(위‧진남북조, 소역)』, 『산수결(당대, 왕유)』, 『산수론(당대, 왕유)』, 『필법기(오대, 형호)』, 『산수절요(오대, 형호)』, 『임천고치(송대, 곽희·곽사)』, 『산수순전집(송대, 한졸)』, 『사산수결(원대, 황공망)』, 『회사미언(명대, 당지계)』등의 아홉 개를 선정하였으며, 각각의 산수화 이론으로 기술된 글에서 경관요소를 추출하여 경관 연출의 대상이 되는 요소들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선행연구를 통해서 ‘대비(對比)’와 ‘변화(變化)’로 구분하여 산수화 이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