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국내 다양한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과 함께 다양한 AI, 딥러닝 등의 기술 융합 또는 심도 있는 정성적 질적 연구과정 등의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전체 78
사용자 참여기법을 활용한 보행환경 실태 및 특성 분석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동 일대 보행로를 대상으로 -
수도권의 1호선 및 중앙선의 지상철 구간은 오래된 도심 지역이나, 최근의 역세권 개발과 더불어 보행인구 및 복잡도의 증가로 보행환경 개선의 필요성이 큰 지역이다. 특히 1호선과 경의중앙선이 지상철로 지나는 회기역 일대는 지하철 선로와 역사(驛舍)로 인해 공간적으로 단절되어 있으며, 세 개의 대학, 종합병원, 골목상권 등이 입지하고 있는 지역이다. 최근 회기역 주변으로 개발이 가속화됨에 따라 보행량 및 차량, 스마트 모빌리티, 이륜차 통행이 증가함에 따라 보행로 혼잡 및 보행 안전성 저하 등의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역 주민을 비롯한 사용자의 보행환경 개선 요구가 날로 커지고 있으나, 개선을 위한 실증적인 데이터가 부재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회기역 일대의 보행환경 개선을 위해, 사용자 중심의 실증적 데이터를 조사 및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실제 사용자 및 주민을 대상으로 사용자 여정맵, 쉐도잉 기법, 심층인터뷰, 주민참여형 워크숍을 활용하여 대상지를 분석하고 보행환경에 대한 지역데이터를 구축하였다. 다음으로 회기역에서 경희대에 이르는 보행길 구간별로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분류
2023.11.05 jaeho19
도시공원 운영 및 관리를 위한 VQA 딥러닝 기술 활용 연구 - SNS 이미지 분석을 중심으로 -
본 연구는 공원 이용자의 수요 변화에 맞춰 공원 운영 및 관리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이다. 과거 공원 이용 수요에 관한 조사와 분석은 설문조사에 의존해왔으나, 최근에는 공원 이용 트렌드 및 이용자의 활동을 다각도로 파악할 수 있는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은 소셜미디어 데이터 중 텍스트 데이터에만 집중되어 있어 이미지 데이터에 담겨있는 정보를 얻기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원 이용 특성 분석의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고, 실제 도시공원 분석에 적용하여 공원 운영 및 관리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Visual Question Answering(VQA)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이미지 분석 도구를 구축하였다. 이 도구를 이용해 공원 이용자의 특성과 위치, 이용행태 등의 각 도시공원 이용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공원별 운영 및 관리 전략을 마련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VQA 딥러닝 기술을 활용해 도출한 이미지 분석 결과값이 기존의 텍스트 분석 결과값과 유사함을 확인하여 분석 도구의 유효성을 입증했다. 둘째, VQA 딥러닝 기술을
2023.11.03 jaeho19
도시공원의 기능 및 형평성 진단을 통한 서울시 장기 미집 행 도시공원의 우선 보상순위 설정 연구 - 서울시 생활권 공원을 대상으로 -
도시공원 일몰제의 도입으로 서울시는 공원면적 전체 중 81.5%의 도시공원이 대규모 실효 위기에 놓이게 되었으며, 도시자연공원구역 지정 및 매입계획을 세워 당장의 효력상실은 막았으나 용도구역 지정토지 소유자들로부터 개발 제한에 대한 불만과 토지매입 요청이 이어지고 있다. 허나 사유지를 단번에 매입할 재정 여건이 여의치 않기에 결국 단계적인 사유지 매입이 이뤄져야만 궁극적인 공원 보전이 이뤄질 수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장기 미집행 도시공원을 대상으로 우선 매입순위 평가를 진행함으로써 이용가치가 높은 공원부터 선제 조치가 취해질 수 있게 하는 하나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도록 했다. 특히 평가과정에서 극심한 공원 빈부격차를 겪고 있는 국내 상황을 반영하여 자치구별 공원 불평등과 관련한 지표를 고려하였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장기 미집행 도시공원 자체적 평가는 자연⋅생태적 기능, 사회⋅이용적 기능, 공원자체적 기능과 관련한 평가지표를 통해 진행하였으며 공원 형평성 평가는 공원 개수, 공원면적 비율, 공급 소외지역 비율, 1인당 공원면적, 공원 접근성 지표를 바탕으로 측정하였다. 두 평가를 합산하여 최종적으로 공원 평가를 도출하였으며 더 나아가 선별
2023.01.07 jaeho19
가상가치평가법을 이용한 산지형 공원의 경제적 가치 평가 - 인천광역시 계양산을 중심으로 -
최근 코로나19로 한곳에 머무르지 않고 이동하며 즐길 수 있는 도심 속 산지형 공원의 가치가 중요해지고 있으나 산지형 공원에 대한 경제적 가치평가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심지에 위치한 산지형 공원인 계양산을 대상으로 이용 및 보존가치를 통한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여 도시민들에게 제공하고 있는 자연자산의 가치를 계량화하고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산지형공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도모함에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계양산의 경제적 가치 평가 결과, 이용가치는 1인당 2,210원으로 연간 약 44.2억 원, 보존가치는 1가구당 6,182원으로 연간 약 1,293.7억 원으로 나타났으며, 계양산의 총자산가치는 3조 683.9억 원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이용가치에 대한 지불의사 및 최대지불의사금액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연령이 낮을수록, 방문 빈도가 낮을수록, 이용 만족도가 높을수록 지불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연자원 보호 관심이 높을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이용가치를 더 높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존가치에 대한 지불의사 및 최대지불의사금액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재방문 의사가 높을수록,
2022.11.02 jaeho19
2022.03.09 jaeho19
EnglishKorean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