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48
도시공원의 기능 및 형평성 진단을 통한 서울시 장기 미집 행 도시공원의 우선 보상순위 설정 연구 - 서울시 생활권 공원을 대상으로 -
도시공원 일몰제의 도입으로 서울시는 공원면적 전체 중 81.5%의 도시공원이 대규모 실효 위기에 놓이게 되었으며, 도시자연공원구역 지정 및 매입계획을 세워 당장의 효력상실은 막았으나 용도구역 지정토지 소유자들로부터 개발 제한에 대한 불만과 토지매입 요청이 이어지고 있다. 허나 사유지를 단번에 매입할 재정 여건이 여의치 않기에 결국 단계적인 사유지 매입이 이뤄져야만 궁극적인 공원 보전이 이뤄질 수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장기 미집행 도시공원을 대상으로 우선 매입순위 평가를 진행함으로써 이용가치가 높은 공원부터 선제 조치가 취해질 수 있게 하는 하나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도록 했다. 특히 평가과정에서 극심한 공원 빈부격차를 겪고 있는 국내 상황을 반영하여 자치구별 공원 불평등과 관련한 지표를 고려하였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장기 미집행 도시공원 자체적 평가는 자연⋅생태적 기능, 사회⋅이용적 기능, 공원자체적 기능과 관련한 평가지표를 통해 진행하였으며 공원 형평성 평가는 공원 개수, 공원면적 비율, 공급 소외지역 비율, 1인당 공원면적, 공원 접근성 지표를 바탕으로 측정하였다. 두 평가를 합산하여 최종적으로 공원 평가를 도출하였으며 더 나아가 선별
2023.01.07 jaeho19
[KCI]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국립수목원 교육의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위한 방향
서자유, 김승회, 이강현, 박찬, 김수련, 진혜영, 정성희. (2022).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국립수목원 교육의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위한 방향. 한국경관학회지, 14(2), 88-98. Abstract 이 연구는 국립수목원의 교육 커리큘럼과 교육 계획을 위한 연구 문서를 빅데이터 분석하여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위한 수목원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한 연구이다. 특히 제3차 산림교육종합계획을 수립하기위해 반영되어야 할 중요한 주제를 발굴하는 것을 주 목표로 한다. 연구는 세단계로 구성하였다. 먼저 관련 분야의 내⋅외부 핵심 이슈를 검토하여 수목원 교육에서의 중요한주제를 파악한다. 이후 국립수목원의 커리큘럼을 분석하여 동향과 주제를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의 과정에서 도출된 주제와 제2차 산림교육 종합계획을 비교하여, 새로운 계획에 반영되어야 할 주제를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수목원 교육의 중요 주제로서 코로나19로 이후 수목원⋅식물원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이 변화하였으며,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국립수목원의 교육의 방향성 또한 지속가능성과 융합교육을 강화해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산림교육종합계획과 비교한 결과 지속가능발전목표,
2022.12.31 박찬 링크로 이동
가상가치평가법을 이용한 산지형 공원의 경제적 가치 평가 - 인천광역시 계양산을 중심으로 -
최근 코로나19로 한곳에 머무르지 않고 이동하며 즐길 수 있는 도심 속 산지형 공원의 가치가 중요해지고 있으나 산지형 공원에 대한 경제적 가치평가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심지에 위치한 산지형 공원인 계양산을 대상으로 이용 및 보존가치를 통한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여 도시민들에게 제공하고 있는 자연자산의 가치를 계량화하고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산지형공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도모함에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계양산의 경제적 가치 평가 결과, 이용가치는 1인당 2,210원으로 연간 약 44.2억 원, 보존가치는 1가구당 6,182원으로 연간 약 1,293.7억 원으로 나타났으며, 계양산의 총자산가치는 3조 683.9억 원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이용가치에 대한 지불의사 및 최대지불의사금액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연령이 낮을수록, 방문 빈도가 낮을수록, 이용 만족도가 높을수록 지불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연자원 보호 관심이 높을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이용가치를 더 높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존가치에 대한 지불의사 및 최대지불의사금액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재방문 의사가 높을수록,
2022.11.02 jaeho19
EnglishKorean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