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9 |
소현수·박현숙, ‘세계유산 조선왕릉 입구공간의 조성 양상’, 한국전통조경학회지 41(3) |
2023.03 |
소현수·정명석,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된 옛 담장의 정비 양상’, 한국전통조경학회지 41(1) |
2022.12 |
강재웅·소현수, ‘문화재 보존원칙으로 본 창경궁 조경 복원정비 양상 해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40(4) |
2022.03 |
정우진·홍현도·소현수, ‘경희궁 별원 함춘원의 실지 경역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40(1) |
2021.12 |
강재웅·소현수, ‘서울 송현동 일원 역사문화경관의 통시적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9(4) |
2021.12 |
김미진·소현수, ‘정비사업을 통해 본 부여 정림사지 문화재 조경의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9(4) |
2021.09 |
소현수·김미정, ‘덕수궁 선원전영역의 조경 복원정비 계획’,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9(3) |
2020.12 |
이종근·소현수, ‘경복궁 녹산의 성립과 경관적 의의’,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8(4) |
2020.12 |
이송민·소현수, ‘설계과정을 통해 본 정원박람회 작가정원의 전통재현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8(4) |
2020.06 |
김미정·소현수, ‘조선후기 회화식 고지도를 통해 본 평양성의 인문경관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8(2) |
2020.03 |
소현수, ‘지자체가 선정한 현대팔경에 나타난 경관 선호 양상’,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8(1) |
2019.03 |
김기욱·소현수, ‘매장문화재 보존형 역사공원의 설계 양상’,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7(1) |
2018.09 |
소현수·이종근, ‘조선왕릉 역사경관림 수목 정비 계획의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6(3) |
2018.02 |
임의제·소현수·배수현, ‘의령 입산마을의 중층적 경관 특성’, 한국농촌계획학회지 24(1) |
2018.02 |
김둘이·소현수, ‘문화역사마을가꾸기 사업의 역사문화자원 활용 방식 고찰’, 농촌계획 24(1) |
2017.09 |
장림·소현수, ‘주련을 통해 본 창덕궁 옥류천 일원의 경관 해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5(3) |
2017.08 |
임의제·소현수 ‘지역관광자원으로서 거창 수숭대 일원의 원형경관고찰’, 한국농총계획학회지 23(3) |
2017.06 |
하혜경·소현수, ‘통시적 원형경관 해석을 통해 본 강진 백운동 원림의 복원 방향’ 한국전통조경학회지 45(3) |
2016. 06 |
임의제·소현수,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경상도편 「산천」항목에 수록된 수경요소의 특징’,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4(2) |
2016.03 |
고영권·소현수, ‘서울시 역사공원의 현황 고찰을 통한 개산 방안 도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4(1) |
2016.02 |
정경아·소현수, ‘3대문화권 사업 계획의 역사문화적 진정성 평가’, 한국농촌계획학회지 22(1) |
2015.12 |
김현희·소현수, ‘택지개발사업 조경설계공모 당선안과 조성 현장 비교를 통해 본 전통 재현의 양상’, 한국조경학회지 43(6) |
2015.06 |
소현수·임의제, ‘조경기사 필기시험 중 한국조경사 문제의 출제 경향’,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3(2) |
2014.09 |
소현수·임의제, ‘지리산 유람록에 나타난 이상향의 경관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2(3) |
2014.09 |
임의제·소현수, ‘아회도에 나타난 조선후기 원림문화’,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2(3) |
2013.12 |
소현수·임의제, ‘매화시제를 통해 본 매화 완상의 대상과 경관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1(4) |
2012.09 |
김해경·소현수, ‘전통조경요소로써 도입된 학(鶴)과 원림문화’,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0(3) |
2012.09 |
임의제·소현수, ‘전통원림에 도입된 매화의 이용과 배식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0(3) |
2012.09 |
임의제·소현수·이수동,‘경상남도 남해안 마을숲의 문화경관 특성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0(3) |
2012.03 |
소현수·김해경,‘문화재 안내판의 배치와 디자인에 대한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0(1) |
2011.12 |
소현수, ‘차경을 통해 본 소쇄원 원림의 구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4) |
2009.04 |
소현수, ‘전통주택과 조경공간의 생태학적 해석’, 한국조경학회지 37(1) |
2008.06 |
소현수, ‘전통경관의 생태학적 해석 도구 추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2) |
2007.12 |
김해경·소현수·최기수, ‘현대 외부공간에 도입된 일본 석등의 재현 양상에 관한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4) |
2007.06 |
소현수·임의제·최기수, ‘누정원림을 통해 본 전통요소의 생태적 해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2) |
2006.06 |
소현수·김해경·최기수, ‘주거단지 외부공간에서의 전통 재현 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2) |
2005.12 |
소현수·최기수·홍대형, ‘조선시대 사묘(祠廟) 칠궁(七宮)의 공간구성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4) |
2023 |
광주조선백자요지(송정동·신대리 일원) 환경정비방안 수립 연구(경기도자박물관) |
2023 |
전통조경 유형별 맞춤형 관리방안 마련(2차)(문화재청) |
2022 |
전통조경 유형별 맞춤형 관리방안 마련 기초연구(문화재청) |
2021 |
광주조선백자요지(우산리 일원) 보존·환경 정비방안 수립 연구(경기도자박물관) |
2020 |
덕수궁 선원전영역 조경 복원정비 종합계획 연구(문화재청) |
2018 |
백운동 정원 다산12경 복원을 위한 식재설계(강진군) |
2017 |
명승 유형별 보존관리방안 연구(문화재청) |
2017 |
2017 전통조경학과 교육체제 매뉴얼 제작(한국전통문화대학교) |
2017 |
한강공원 보전 및 관리에 관한 기본계획(서울특별시 한강사업본부) |
2016 |
문경 아리랑 비원 조성을 위한 기본구상(경북 문경시) |
2014 |
테마가 있는 벽화마을 조성사업(서울시 동대문구) |
2013 |
둔산동 옻골마을 관광명소화 방안 연구(대구광역시 동구) |
2012 |
디지털 강남문화대전 일반·기획 항목 집필 사업(강남구) |
2011 |
사비고도공간 회복사업 기본계획(부여군) |
2010 |
도시형 커뮤니티의 녹색활동(국토연구원) |
2009 |
효창공원 역사적 가치 및 활용을 위한 학술연구(용산구) |
2005 |
전통적 개념을 도입한 주거단지 계획 및 설계에 대한 고찰(GS건설) |
2003 |
암사동 선사유적공원 개발계획(강동구) |
2002 |
생명의 나무 천만그루 심기 : 1998-2002(서울특별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