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사] [도시과학대학원] 윤옥란. 2022. 경복궁 전통공간의 초본(草本) 식생 경관
본 연구는 조선시대 법궁인 경복궁에서 영제교 일원, 경회루 일원, 향원정 일원의 초본 식생 경관을 고찰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해당 전통공간에 부합하는 초본 식생 경관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세 개의 전통공간은 외조, 치조, 연조로 기능이 다른 영역에 위치하며, 현대에 조성된 기하학적 화단, 방지 호안을 구성하는 화계, 연못 주변 휴게공간 등 식재 기반을 제공하는 공간의 여건과 형태가 다르다는 점에서 고찰의 의미를 지닌다. 연구는 문헌연구와 현장조사로 진행되었다.
먼저 초본을 지칭하는 용어의 용례들을 바탕으로 전통 초본은 우리 땅의 자연환경에 적응하여 자라온 자생력을 가지고 꽃이나 잎을 감상하는 심미성, 지표면을 피복하는 기능성, 그리고 문화적 상징성을 담고 있는 풀로 정의하였다. 또한 전통 초본의 종류를 파악하기 위하여 고문헌 기록에 접근하여 『조선왕조실록』, 『궁궐지』, 『양화소록』, 『지봉유설』, 『산림경제』, 『화암수록』, 『임원경제지』, 『사의당지』에 등장하는 초본의 정보를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가 조선왕릉 사릉 양묘장에 보유하고 있는 초본 목록을 구하고, 현재 경복궁에 식재된 초본들을 조사하였다. 이렇게 확보한 초본 중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