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현수, 오선영. "공간구조 단위로서 전통시설 모듈과 경관 정비 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43.1 (2025): 100-111.
읍성·성곽, 관아, 전통마을, 민가, 별서·누정 원림, 서원·향교, 사찰, 고분군에 해당되는 전통공간 47개소를 현장조사하고 공간구조 단위로서 전통시설 모듈을 생성한 후 통합적 경관 정비 방안을 제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공간에서 시각적으로 우세한 석축, 화계ㆍ화오, 지당이 다른 공간구성요소와 결합되는 반복성을 반영하여 차별성있는 전통시설 모듈 9개를 도출하였다. 둘째, 석축 모듈은 ‘석축+계단+식생’, ‘석축+비탈면+계단+식생’, ‘담장+비탈면+후원 석축’으로 구분하고, 화계 모듈은 ‘건축물+화계+식생’과 ‘담장+후원 화계+식생’, 화오 모듈은 ‘담장+화오+식생’으로 정리하였다. 지당 모듈은 ‘건축물+내원 지당+섬+식생’, ‘담장+내원 지당+수로+식생’, ‘담장+외원 지당+섬+다리+식생’으로 구분하였다. 셋째, ‘석축+비탈면+계단+식생’, ‘담장+후원 화계+식생’, ‘담장+외원 지당+섬+다리+식생’ 모듈별로 ‘전통시설물 설치’, ‘전통시설물 관리’, ‘기존 수목 관리’, ‘식물 식재’ 항목과 관련된 현장의 문제 양상에 대응하여 기능성, 조망성, 경관성을 향상시키는 정비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서 전통시설 모듈이 국가유산의 심미성을 향상시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