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2022 |
국가 및 글로벌 기후변화대응정책 연계형 표준기후정책평가모형 개발, 연구책임, 한국연구재단 |
2019-2022 |
도시생물종 맞춤형 서식환경 관리 기법 개발, 세부연구책임,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2018-2020 |
기후변화 적응정책 선정을 위한 통합평가 의사결정지원 도구개발 및 실증화, 공동연구,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2017- 2017 |
생태계서비스 평가를 위한 시나리오 설정 및 시범적용, 공동연구, 국립생태원 |
2017- 2020 |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통합평가 모형 기반구축 및 활용기술개발: 통합환경공간계획, 세부공동참여, 환경부 |
2017-2017 |
법정리 단위 산촌관련 DB구축과 기초 통계 분석, 연구책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2016-2017 |
행정중심복합도시 공원ㆍ녹지 특화전략 및 사업성 제고방안 수립연구용역, 공동연구, LH |
2016-2017 |
한반도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정책수립 지원연구, 공동연구, 환경부 |
2016 |
북한지역 생태축의 주요종 서식 적합성 평가 및 경관생태학적 평가 연구, 연구책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2016 |
생태계서비스 평가를 위한 시나리오 및 모델링 예비연구, 공동연구, 국립생태원 |
2015-2016 |
산줄기연결망체계 구축 및 산지관리방안, 연구책임, 산림청 |
2015 |
산지이용실태조사, 공동연구, 산림청 |
2015 |
베트남 그린시티 도시계획 수립사업, 공동연구, KOICA |
2015 |
미래 국가도시정책, 공동연구, 국토연구원 |
2015 |
국토·환경계획 연동에 따른 도시계획적 대응방안 연구, 공동연구, 국토연구원 |
2014-2015 |
Inter-Sectoral Impact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공동연구, 일본 환경성 |
2013-2015 |
동아시아 지역의 온실가스 및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공동연구, 일본 환경성 |
2013-2014 |
기후변화 영향·리스크 평가, 공동연구, 일본 환경성 |
2012 |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표준화 방법론 개발, 참여 연구원, 국립환경과학원 |
2012-2013 |
지자체 온실가스 감축이행 실적 평가기법 연구, 공동연구, 국립환경과학원 |
2011-2012 |
도시생태계 적응, 관리 기법 및 지원시스템 개발, 참여 연구원, 환경부 |
2010 |
저탄소녹색도시 조성가이드라인 및 평가기법 개발, 참여연구원, 환경부 |
2009-2010 |
DMZ와 CCZ지역의 두루미류 서식현황 조사 및 보전전략 수립 연구, 참여연구원, 환경부 |
2009-2011 |
산악/수변,농촌,관광 휴양지역 산림경관 디자인 및 관리기법 개발, 참여연구원, 산림청 |
2008-2012 |
U- 기술기반 Eco City 계획 설계 및 평가기술, 참여 연구원, 국토해양부 |
2007-2010 |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권 변화 예측 모델 개발 및 취약지역에 대한 관리기법 개발, 참여연구원, 환경부 |
2007-2010 |
도시숲 유형에 따른 도시숲 조성, 참여연구원, 산림청 |
2007-2009 |
광역생태축 구축을 위한 기준 및 관리지역 설정 연구, 참여연구원, 환경부 |
2022 |
주택재개발사업지의 층수변화 시나리오별 미기후 영향 예측 : 기온, 미세먼지, 초미세먼지를 중심으로 |
2022 |
수원시의 조류 충돌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 구성,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
2022 |
녹지축의 생태적 기능 강화를 위한 도시녹지 연결경로 도출 연구 -수원시 대상-,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
2022 |
멧돼지(Sus scrofa) 서식지 및 이동 특성을 고려한 연결성 모델링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2022 |
자연기반해법 적용에 따른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의 비점오염 저감 효과 추정,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2022 |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국립수목원 교육의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위한 방향, 한국경관학회지 |
2022 |
조경 공종에서의 온실가스 고려 사항 및 어린이공원 시공 단계의 배출량 산정,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
2022 |
CEA 모델을 활용한 아파트 에너지 사용량 및 태양광 잠재량 분석,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
2022 |
Good practice policies to bridge the emissions gap in key countries, Global Environmental Change |
2021 |
Impact of Local Environment on Cooling Island Effect of Water Body: Case Study of Changsha, China, Sensors and Materials |
2021 |
Spatiotemporal Contribution of Blue-green Spaces to the Urban Thermal Environment in Changsha, China, Sensors and Materials |
2021 |
Finding Unrevealed Landslide Hazard Area Induced by Climate Change and Topography - Case study for Inje-gun, Gangwon-do, ROK, Sustainable Cities and Society |
2021 |
A framework for national scenarios with varying emission reductions, Nature Climate Change |
2021 |
Reproducing complex simulations of economic impacts of climate change with lower-cost emulators, Geoscientific Model Development |
2021 |
도시개발 시나리오에 따른 농업지역의 생태계서비스 변화 분석 - 3기 신도시 남양주 왕숙1지구를 대상으로 - , 한국환경영향평가 |
2021 |
서울 도심 공지의 개발 시나리오에 따른 미기후 영향 분석, 한국환경영향평가 |
2021 |
Discrepancies between Global Forest Net Primary Productivity Estimates Derived from MODIS and Forest Inventory Data and Underlying Factors, Remote Sensing |
2021 |
도시녹지 미세먼지 조절 서비스 수요와 공급의 공간적 차이 분석 - 수원시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
2021 |
카메라트래핑을 활용한 광교신도시 내 도시형 생태통로 모니터링,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
2021 |
Mitigating the Impact of Touristification on the Psychological Carrying Capacity of Residents, Sustainability. |
2020 |
Energy system transitions and low-carbon pathways in Australia, Brazil, Canada, China, EU-28, India, Indonesia, Japan, Republic of Korea, Russia and the United States, Energy |
2020 |
기후변화 불확실성을 고려한 226개 기초지자체 유형화 연구,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2020 |
지역의 미래 환경 비전 공간화를 위한 토지이용계획 시나리오 체계 연구, 국토계획 |
2020 |
친환경 도시건설 이념에 따라 조성된 도시의 녹지 구조 및 기능 비교 분석 :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일본 쓰쿠바시를 사례로, 국토계획 |
2020 |
심층신경망 모형을 이용한 서울시 도시공원 및 녹지공간의 열섬저감효과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
2020 |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energy systems in global and regional scenarios. Nature Energy. |
2020 |
Discerning the success of sustainable plann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urban heat island dynamics in Korean new towns, Sustainable Cities and Society. |
2020 |
도시 내 육상 생물종 모니터링을 위한 환경DNA 리뷰 및 적용,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
2020 |
인구 감소 현상에 따른 목포시 빈집 및 공지의 공간적 분포 전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
2019 |
환경DNA 메타바코딩 기술을 활용한 수생태계 어류종 군집조사의 가능성 – 도시 생태하천 초기분석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
2019 |
Dependence of economic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anthropogenically directed pathways, Nature climate change |
2019 |
Mapping and Statistical Analysis of NO2 Concentration for Local Government Air Quality Regulation, Sustainability |
2019 |
Evaluating multiple bioclimatic risks using Bayesian Belief Network to support urban tree management under climate change,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
2019 |
Impacts of Climate Change, Income Change, and Mitigation Measures on CO2 Emission in the Korean Residential Sector in 2050, 한국기후변화학회 |
2019 |
제3세대 SNS에 표출된 공원 유형별 이용 특성 분석, 한국조경학회 |
2019 |
Modelling spatial climate change landuse adaptation with multi-objective genetic algorithms to improve resilience for rice yield and species richness and to mitigate disaster risk,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
2018 |
해수면 상승에 따른 생태계서비스 피해비용 추정. IDI 도시연구 |
2018 |
Estimating landslide susceptibility areas considering the uncertainty inherent in modeling methods, Stochast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Risk Assessment |
2018 |
Assessing Effective Sampling Method and Sample Size for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of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J. Fac. Agr., Kyushu Univ. |
2018 |
CPTED 요소로써 서울시 공원ㆍ녹지의 효과와 계획적 함의, 한국조경학회 |
2018 |
Assessing the Cost of damage and Effect of Adaptation to Landslides, Sustainability |
2018 |
시흥시 보전지역 설정을 위한 조류 서식지 적합성 분석, 국토계획 |
2018 |
Estimation of the Cost of Greenhouse Gas Reduction in Korea under the Global Scenario of 1.5 °C Temperature Increase, Carbon Management |
2018 |
Avoided economic impacts of energy demand changes by 1.5 °C and 2 °C climate stabilization,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
2018 |
Effects of Climate Change and Ozone Concentration on the Net Primary Productivity of Forests in South Korea, Forests |
2017 |
A Flood Risk Assessment Model for Companies and Criteria for Governmental Decision-Making to Minimize Hazards, Sustainability |
2017 |
Impact of 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on Residential CO2 Emissions: A Comparison of Korea and China, Energy Procedia |
2017 |
Low-Carbon Scenarios for the Power Sector in the Republic of Korea, Journal of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
2017 |
Marginal Abatement Cost of CO2 Mitigation Options for the Residential Sector in Korea, Korea and the World Economy |
2017 |
Mapping the Distribution Pattern of Gentrification near Urban Parks in the Case of Gyeongui Line Forest Park, Seoul, Korea, Sustainability |
2016 |
Park Accessibility Impacts Housing Prices in Seoul, Sustainability |
2016 |
Quantifying the economic impact of changes in energy demand for space heating and cooling systems under varying climatic scenarios, Palgrave Communications |
2016 |
도시 열환경 평가를 위한 기온관측망 영향범위 분석,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
2016 |
Modeling the habitat of the red-crowned crane (Grus japonensis) wintering in Cheorwon-gun to support decision making, Sustainability |
2016 |
Finding key vulnerable areas by a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 Natural Hazards |
2016 |
Assessment of the vulnerability of industrial parks to flood in South Korea, Natural Hazards |
2015 |
사회경제 변화를 고려한 서비스 수요 및 기후변화 유발물질 배출량 예측,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2015 |
기후변화와 사회·경제적 요소를 고려한 가정 부문 냉난방 에너지 사용량 변화 예측, 환경영향평가 |
2015 |
스키산업에 기후변화가 미치는 영향 분석, 환경영향평가 |
2015 |
불확실성을 고려한 미래 잣나무의 서식적지 분포 예측, 환경복원녹화 |
2015 |
Evaluating landslide hazards using RCP 4.5 and 8.5 scenarios, Environmental Earth Sciences |
2015 |
The Effects of Land-Use Change Scenarios on Terrestrial Carbon Stocks in South Korea, Landscape Ecol Eng |
2014 |
효자배수분구의 우수유출 저감을 위한 레인가든 면적 산출, 국토계획 |
2013 |
지자체 유형별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특성 분석, 환경영향평가 |
2013 |
기후변화에 따른 산사태 취약성의 정량적 평가기준 설정 연구,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2013 |
MaxEnt 모형을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산사태 발생가능성 예측, 환경영향평가 |
2013 |
MaxEnt를 이용한 서울시 도시홍수 적응능력 취약지역 선정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
2013 |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 수종의 기후 적합성 평가모델 - 서울시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2012 |
저영향개발(LID) 적용에 따른 도시지역 유출 분석, 국토계획 |
2011 |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기후적응지역 설정 연구 - 삵의 서식지를 중심으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2010 |
기후변화에 따른 식생과 토양에 의한 탄소변화량 공간적 분석, 한국농촌계획학회지 |
2010 |
도시 녹지 가치 평가를 위한 탄소 흡수량 추정 - 서울시를 대상으로 -, 환경영향평가 |
2010 |
산림패치의 특성이 조류 종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분석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
2010 |
토지피복 변화를 반영한 미래의 산림식생 분포 예측에 관한 연구, 환경영향평가 |
2009 |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식생 및 토양의 이산화탄소 저감잠재량 분석,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
2008 |
경관의 특성에 따른 동물의 이동경로에 관한 연구, 환경영향평가 |
2008 |
인공지반녹화의 웹 지원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구축.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