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 졸업년도 | 현재 소속 | 학위논문 제목 | 비고 |
최다정 | 2025 | | 택지개발지구의 생태계서비스 변화와 자연기반해법 정량화 연구 | 시간제 |
황예린 | 2025 | 산림과학원 | 기후변화에 따른 꽃가루 위해 변화 분석 : 구리시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 |
백시우 | 2024 | 박사과정 진학 | 도시 그린 인프라 적용을 통한 노후 주거용 건물의 탄소 저감 효과 분석 : 성남시 공동주택과 고밀도 저층 주거지를 중심으로 | |
구본아 | 2024 | 국립수목원 | 가로수 그늘과 건물 그늘의 폭염저감 효과 평가 | |
이지우 | 2023 | 국토연구원 | 탄소중립도시를 위한 자연기반해법 구현 방안 | |
김수경 | 2023 | 박사과정 진학 | 기후 영향에 의한 연간 식생의 생산성 증감분 추정방법 : 강원도 산림을 대상으로 | |
박소민 | 2022 | 박사과정 진학 | 시민과학을 이용한 도시열섬 지역 예측 방안 : 벚꽃 개화 관찰 데이터를 이용하여 | |
백지원 | 2024 | 박사과정 진학/국립환경과학원 | 도시 그린 인프라 적용을 통한 노후 주거용 건물의 탄소 저감 효과 분석 : 성남시 공동주택과 고밀도 저층 주거지를 중심으로 | |
정호걸 | 2021 | 박사과정 진학 | 유전알고리즘을 활용한 우수습지 적지 분석 : 중국 商丘市(상추시)를 대상으로 | |
아이다아야노 | 2021 | 박사과정 진학 | 신경망 모형을 이용한 도시 내 열 쾌적성 분포 분석 | |
조영우 | 2021 | | 인구감소 현상에 기반한 공지의 공간적 분포 예측과 활용에 관한 연구: 익산시를 대상으로 | |
조민균 | 2019 | 박사과정 진학 |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시공원 영향권과 이용 요인 분석 : 성동구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 |